* 절과 불교유적 */호남지역(湖南)

대 가람 지리산 화엄사

방랑자333 2007. 5. 9. 23:10

 

 

 

많은 문화재에

 

유명한 절

 

국보4점,보물4점,천연기념물1점 , 경남도지정 2점등을 간직한

 

우리민족의 영산 지리산 !

 

그리고 명승지 !  

 

 화 .

 

 

 내 나이  한창 때

 

화엄사를 거쳐

 

백두대간의 시발점인 노고단을 지나 천황봉에 이르던

 

종주등반

 

그 멋진 추억이 어려있는 절이기도 하다

 

설명은 아래의 발췌 부분으로 대체하고

 

사진을 올린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일주문 (석전 황욱선생글씨)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동 5층석탑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서 5층석탑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대웅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대웅전 불상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9층암으로 가는 길에서 본  각황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9층암석탑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원통전 앞  사자탑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각황전 앞 석등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4사자 3층 석탑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각황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각황전 내부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각황전 불상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서5층탑과 각황전

 

 

         < 발췌 : 한국관광공사 홈피  내용>

           화엄사는 구례읍에서 동쪽으로 5.4km 떨어진 곳, 민족의 영산인 지리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

           는 천년 고찰로 544년(백제 성왕22년)에 연기조사가 창건하였다하여 절의 이름을 화엄경(華

           嚴經)의 화엄 두글자를 따서 붙였다고 한다.  처음에는 해회당과 대웅상적광전만  세워졌고

           그후 643년(선덕여왕 12년) 자장율사에 의해 증축되었고 875년(신라 헌강왕1년)에 도선국사

           가 또 다시 증축하였다.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630년(인조 8년)에 벽암선사가 절

           을 다시 세우기 시작하여 7년만인 인조 14년(1636년)에 완성하였다.

           각황전 풍경(風磬)과 흰달 서 5층석탑과 범종각  사찰 내에는 각황전을 비롯하여

           국보 4점, 보물 5점, 천연기념물 1점, 지방문화재 2점등 많은 문화재와 20여동의 부속 건물이

           배치되어 있다.  특히 건물의 배치에 있어서는 일주문을 지나 약 30˚꺽어서 북동쪽으로

           들어가면 금강역사, 문수, 보현의 상을 안치한 천왕문에 다다르는데 이 문은 금강문과는

           서쪽 방향으로 빗겨 놓은 것이 독특한 특징이다. 이 천왕문을

           지나 다시 올라가면 보제루에 이르고 보제루는 다른 절에서 그  밑을 통과하여 대웅전에 이

           르는 방법과는 다르게 누의 옆을 돌아가게 되어 있다. 절내에서는 동.서 두 개의 탑이 사선

           방향으로 보이며 동측탑의 윗부분보다 한단 높은 더위에 대웅전이 있고 서쪽탑의  윗부분에

           는 각황전이 위치하고 있다.   각황전 앞 석등 당간지주 경내 건물중 각황전은 국보 제67호로

           지정된 매우 유명한 건물이며 현존하는 목조건물로는 국내 최대 규모로 그 웅장한 외양이 보는

           이의 시선을 압도한다.

           각황전 앞 뜰에 서 있는 석등은 높이 6.3m, 직경 2.8m 로 국내 최대 규모이며, 통일 신라시

           대 불교 중흥기의 찬란한 조각예술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국보 제 12호로 지정되어

           각황전 왼편 효대라는 언덕에 자리하고 있는 4사자 3층석탑은 화엄사를 창건한  연기조사가

           어머니의 명복을 빌며 세운 탑으로 특이한 의장과 세련된 조각솜씨를 자랑하는 걸작으로 국

           보 제35호이다. 각황전 내부 후편에 위치하고 있는 영산회 괘불탱은 국보 제301호로 1997년

           도에 지정되었다.

           사사자삼층석탑 사자 서5층석탑 화엄사 경내 보물 가운데서도 대웅전 양편에 서있는 5층탑은

           뛰어난 조형성과  섬세한 장식이 눈길을 끄는 신라시대 작품으로 보물 제132호와 133호로

           지정돼 있다.

           또한 이곳의 대웅전은 보물 299호로 조선시대의 우수한 예술성이 잘 나타나 있으며, 국립공원인

           지리산의 훌륭한 경관을 배경으로 곳곳에 명소와 절경이 산재해 있다.

           한편 하동에서 화엄사에 이르는 19번국도변(약 35㎞) 에는 가로수로 벚꽃나무가 심어져  매

           년 4월 벚꽃이 만개할 때면 환상적인 드라이브 코스로 인근에는 섬진강매화마을, 고소성 군

           립공원, 지리산국립공원, 쌍계사등 많은 관광지가 있어 수많은 상춘객이 몰리는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