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절과 불교유적 */영남지역(嶺南)

화왕산관룡사 <경남 창녕>

방랑자333 2011. 7. 3. 13:52

 

 

 

 

 

 

비가오는 흐린 날

 

 경남 창녕에 위치한 화왕산관룡사를 찾았다

 

비가오니 더 옛스러운 모습으로 다가왔다

 

비록 처음 친견이지만

 

당우들이 다가오며 반겼다.

 

 

 

 

 

 관룡사 입구 도로

 

 

 

 

 

 

 

 

 

 

 관룡사 주차장에서 본 모습

 

 

 

 

 

 

 

 

 

 

 

 

 

 

 

 

 

 

 

 

 

 

 

 

 

 

 

 

 

 

 

 

 

 

 

 

 

 

 

 

 

 

 

 

 

 

 

 

 

 

 

 

 

 

 

 

 

 

 

 

 

 대웅전(大雄殿) 보물 제212호

 

 정면 3칸, 측면 3칸의 겹처마 다포계 팔작건물이다. 1965년 8월 해체

보수공사 때 어칸 마루도리에서 발견된 상량문(上樑文)에 의하면, 1401년(태종 원년)에

창건되어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17년(광해군 9)에 중창하고 1749년(영조 25)에

중수하였다고 한다.

 

 

 

 

 

 

 

 

 관룡사 대웅전 불상들 

 

 

 

 

 

 

 

 

 

 

 

 관룡사 대웅전 본존불 뒤의 관음불

 

 

 

 

 

 

 

 

 

 

 

 

 

 

 

 

 

 

 

 

 

 

경남도 유형문화제 제 11호인 3층석탑

 

 

 

 

 

 

 

 

 

 

 

 

 

 

보물제 146호인 약사전

 

 

 

 

 

* 알림 

각  당우들의 현판 및 주련에 대한 내용들은

제 블로그(아래 주소)의 주련이나 현판에 있사오니 참조바랍니다

  

http://blog.daum.net/moowooi/

 

 

 

 

 

 

 

보물제 519호인 석불좌상

 

 

 

 

 

 

 

 

 

 

 

 

 보물제 146호인 약사전 측면

:네기둥보다 지붕이 상당히 넓은 구조다

 

 

 

 

 

 

 

 

 

 

보물제 146호인 약사전벽 및 내부 그림 

일반절에서와 같지 않은 화조도가 눈에 띈다

주지스님이나 그곳의 신도님께 물어 보아도 알수 없으니~~~

동양화가가 기거 한게 아닌가? 아니면 사연이 있는가 ? 그게 궁금해진다  

 

 

 

 

 

 

 

 

 

 

 

명부전

 

 

 

 

 

 

 

 

 

 

 

 

 

 명부전의 지장보살상

 

 

 

 

 

 

 

 

 

 

 

 

 원음전

 

 

 

 

 

 

 

 

 

 

 

 

 

 

 

 

 

 칠성각

뒤로 응진전과 산령각이 보이며

또한  그 뒤로 보이는 소나무와 병풍바위가 잘 어울린다. 

 

 

 

 

 

 

 

 

 

 

신라시대 8대 사찰, 관룡사

 

관룡사는 화왕산 군립공원 구룡산 병풍바위 아래 있는 고찰로 대

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의 본사인 통도사(通度寺)의 말사이다.

신라 8대사찰의 하나로, 394년(내물왕 39)에 창건되었다고 하나 확실하지는 않다.

583년(진평왕 5) 증법(證法)이 중창하고 삼국통일 후 원효가

중국 승려 1,000명에게 <화엄경>을 설법하여 대도량을 이루었다.

748년(경덕왕 7) 추담(秋潭)이 중건하였다.

 조선시대에 들어 1401년(태종 1) 대웅전을 중건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대부분 당우(堂宇)가 소실되어, 1617년(광해군 9)에 영운(靈雲)이

재건하고, 1749년(영조 25)에 보수하였다.

관룡사의 볼거리

관룡사에는 대웅전(보물 212호)과 약사전(藥師殿, 보물 146호)을 비롯하여

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 보물 519호)과 약사전 3층석탑(지방유형문화재 11호),

용선대(龍船臺)석조석가여래좌상(보물 295호) 등이 있다.

또한 관룡사 입구에는 고려 공민왕 때 개혁정치를 주도한

신돈(辛旽 ? ~ 1371년)이 출가한 사찰인 옥천사지(玉泉寺址)가 있으며,

또 신돈이 태어났다는 일미사지(一味寺址)가 있다.

주변의 깊은 옥천계곡은 많은 피서객이 찾아온다.

< 자료발췌: 한국관광공사 홈페이지 >

 

 

 

 

 

 

 

 

 

 

 

 

관룡사 전경

 

 

 

 

 

 

 

 

 

 

 

 

용선대에서 본 관룡사(우측 아래)